본문 바로가기
디지털포렌식

[3] ~ Prefetch 개념 및 실습

by yejin_l 2023. 11. 15.
728x90

Jumplist : 최근 사용한 파일/폴더에 빠르게 접근하기 위한 구조

종류

• Automatic : 운영체제가 자동으로 남기는 항목

• Custom : 응용프로그램이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항목

경로

• %UserProfile%\AppData\Roaming\Microsoft\Windows\Recent\AutomaticDestinations

• %UserProfile%\AppData\Roaming\Microsoft\Windows\Recent\CustomDestinations

Prefetch : 응용프로그램의 빠른 실행을 위해서 존재하는 파일

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생성

• 실행 파일 이름, 경로

• 실행 파일의 실행 횟수

• 실행 파일의 마지막 실행 시간

• 실행 파일의 최초 실행 시간

 

점프 목록

Recent

• 사용자가 최근 접근한 파일이나 폴더

Frequent

• 사용자가 빈번히 접근한 파일이나 폴더

Tasks

• 응용프로그램에서 지원하는 작업 목록

Pinned

• 사용자가 고정 시킨 작업 목록

점프 목록의 활용

- 포렌식적 의미

• 사용자의 응용프로그램 사용 흔적 및 패턴을 파악

• 윈도우 7에서 기본 활성화

• 최근 접근 문서(Recent)나 UserAssist 키보다 더 많은 정보 포함

• 사용자가 직접 삭제하지 않는 이상 운영체제 설치 시부터 지속적으로 로그 저장

• 사용자의 행위를 파악하거나 정보 유출 사건 분석에 큰 역할

점프 목록 구조

- 저장 경로

 Recent 폴더 하위에 저장

- AutomaticDestinations

• 운영체제가 자동으로 남기는 항목

• 최근 사용한 목록(Recent)이나 자주 사용되는 목록(Frequent)

- CustomDestinations

• 응용프로그램이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항목

• 작업(Task) 목록

App ID

- 파일명

• 각 응용프로그램 별로 고유한 16자리 사용

- 구조

점프 목록 파일 구조

• OLE Compound 파일 구조를 사용

• 점프 목록 각 아이템을 OLE 스트림(바로가기 파일)으로 저장

점프 목록 카빙

OLE

• 카빙된 문서 파일에서 점프 목록 분리

• 점프 목록 OLE 형식은 모두 기본 3개의 스트림을 가짐 → 초기 3개의 스트림 검증(Root Entry, Root Entry\1, Root Entry\DestList )

728x90